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는 내각의 총리를 보좌하며,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특정 분야의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한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다양한 인물들이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초기에는 박헌영, 홍명희, 김책 등이 부총리를 지냈다. 1972년 정무원 시기에는 행정 및 경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인물들이 주로 임명되었고, 1998년 내각으로 개편된 이후에는 경제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부총리 중 가장 높은 직위인 제1부총리는 총리 유고 시 그 권한을 대행하며, 김일, 강성산 등이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 최영림 (정치인)
    최영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한국 전쟁 참전 후 김일성종합대학과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주요 직책을 거쳐 정무원 부총리, 내각총리를 역임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관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관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직책 개요
직책 명칭부총리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내각
역대 부총리
초대김일
임명1948년
역대 최연소로두철
임명 당시 나이44세
임명 및 해임
임명권자국무총리의 제청에 따라 최고인민회의에서 임명 및 해임
임기5년 (연임 가능)
역할 및 권한
주요 역할각 부(部)를 지도하며, 내각의 사업을 총괄 조정
권한내각 결정, 지시의 심의 및 비준
각 부의 사업에 대한 지도, 감독
중요 정책 결정에 대한 참여
법적 근거
관련 조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122조
기타
비고부총리의 정원은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음.

2. 역대 부총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총리는 내각 총리를 보좌하며, 여러 분야의 행정을 담당한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부총리를 역임했다.

초기에는 박헌영, 홍명희, 김책 등 항일 독립운동 경력자들이 부총리에 임명되었다.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채택 이후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면서 부총리의 역할과 권한에 변화가 생겼다. 정무원 부총리는 행정 및 경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인물들이 주로 임명되었으며, 국가계획위원장, 외무상 등 주요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1998년 헌법 개정으로 정무원이 다시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부총리의 역할도 일부 조정되었다. 내각 부총리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성을 강화하였으며, 국가계획위원장 등 경제 관련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

현재(2021년 이후) 내각 부총리 명단
직책이름비고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박정근2021년 1월 17일 ~
부총리양승호2020년 4월 12일 ~
부총리김성룡2021년 1월 17일 ~
부총리리성학2021년 1월 17일 ~
부총리박훈2021년 1월 17일 ~
부총리 겸 농업위원회 위원장주철규2021년 1월 17일 ~
부총리전승국2022년 6월 8일 ~


2. 1. 초기 (1948년 ~ 1972년)

1948년 정부 수립 초기에는 박헌영, 홍명희, 김책 등이 부총리를 역임하였다. 이 시기 부총리는 주로 내각의 주요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외무상 등 주요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1] 최창익, 정일룡, 정준택, 최용건, 박의완, 남일, 리종옥 등도 이 시기에 부총리를 역임했다.[1]

재임 기간이름비고
1948년 9월 2일 ~ 1953년 3월 31일박헌영외무상 겸직
1948년 9월 2일 ~ 1954년 3월 22일홍명희
1948년 9월 2일 ~ 1951년 1월 30일김책
1951년 11월 ~ 1953년 3월 31일허가이
1952년 ~ 1954년 3월 22일최창익재정상 겸직
1953년 3월 31일 ~ 1954년 3월 22일정준택
1954년 3월 23일 ~ 1956년 9월박창옥내각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겸직
1954년 3월 23일 ~ 1958년 10월 5일김일농업상 겸직
1954년 3월 23일 ~ 1962년 10월 23일정일룡중공업상 겸직
1954년 3월 23일 ~ 1962년 10월 23일박의완경공업상 겸직
1956년 9월 ~ 1962년 10월 23일남일
1956년 9월 ~ 1962년 10월 23일정준택
1956년 9월 ~ 1962년 10월 23일최용건
1958년 10월 6일 ~ 1961년 4월 13일박수완(朴壽玩)
1960년 ~ 1962년 10월 23일리종옥
1962년 10월 23일 ~ 1972년 10월 2일김일
1962년 10월 23일 ~ 1965년김광협
1962년 10월 23일 ~ 1966년 5월김창만
1962년 10월 23일 ~ 1972년 10월 2일정일룡
1962년 10월 23일 ~ 1967년남일
1962년 10월 23일 ~ 1972년 10월 2일리주연
1962년 10월 23일 ~ 1972년 10월 2일정준택
1962년 10월 23일 ~ 1967년리종옥
1962년 10월 23일 ~ 1967년고혁
1967년 1월 ~ 1967년 3월박금철
1965년 ~ 1967년 12월 27일최현58~68년 체신상 겸직
1966년 10월 18일 ~ 1972년 10월박성철1967년 12월 1일부터 내무상 겸직
1967년 12월 28일 ~ 1970년 7월김만금
1967년 12월 28일 ~ 1970년 7월최재우
1967년 12월 28일 ~ 1970년 7월홍원길
1970년 7월 ~ 1972년 10월 2일허담외무상 겸직


2. 2. 정무원 시기 (1972년 ~ 1998년)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채택 이후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면서 부총리의 역할과 권한에 변화가 생겼다. 정무원 부총리는 행정 및 경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인물들이 주로 임명되었으며, 국가계획위원장, 외무상 등 주요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재임 기간이름겸직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7일남일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7일리종옥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7일허담외무상
1972년 12월 2일 ~ 1973년 9월김만금농업위원회 위원장
1972년 10월 2일 ~ 1976년 4월 29일박성철인민봉사위원회 위원장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6일홍원길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7일정준기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7일정준택
1972년 10월 2일 ~ 1976년 3월 6일최재우국가계획위원장 (1972년 12월~1973년 9월)
1973년 9월 ~ 1976년 3월 6일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1973년 9월~)
1973년 ~ 1976년 3월 6일홍석형
1975년 6월 26일 ~ 1976년 3월 6일공진태전 정무원 사무총장
1974년 2월 15일 ~ 1976년 3월 6일김영주남북조절위평양측공동위원장,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장
~ 1976년 3월 6일리근모정치위원
1976년 1월 ~ 1976년 12월 11일강성산철도성상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리종옥중공업위원회 위원장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계응태내각 무역부장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공진태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정준기
1976년 3월 7일 ~ 1976년 5월 18일홍원길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홍성남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허담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김영주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리근모정치위원
1976년 3월 7일 ~ 1976년 12월 11일최재우
1976년 1월 ~ 1976년 12월 11일홍석형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김영주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계응태무역부장, 국방위원, 정치위원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리종옥총리로 승진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허담외무상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공진태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정준기
1976년 12월 12일 ~ 1977년 12월 15일리근모기계공업위원장
1977년 10월 ~ 1977년 12월 14일강성산
1977년 ~ 1982년 11월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1977년 12월 15일 ~계응태중공업위 위원장, 국방위원, 정치위원
1977년 12월 15일 ~ 1983년 12월 28일허담외무상
1977년 12월 15일 ~정준기
1977년 12월 15일 ~ 1979년 5월강성산제1부총리로 승진
1977년 12월 15일 ~ 1985년 10월 1일공진태무역위원장, 인민봉사위원장으로 전출
1977년 12월 15일 ~ 1981년 11월허정숙
1977년 12월 15일 ~ 1983년리근모기계공업위원장
1978년 3월 ~강희원평양시 인민위원장
1978년 ~ 1984년김만금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1978년 ~ 1983년 6월 20일윤기복당 경제담당비서, 평양시 인민위원장으로 전출
? ~ 1979년 12월 31일로태석사고로 사망
1979년 5월 ~ 1982년 4월강성산철도부장, 제1부총리로 승진
1980년 1월 ~김경연재정상
1981년 1월 ~홍성룡
? ~ 1982년 4월김복신경공업위원장
1977년 12월 15일 ~ 1983년 1월 6일림춘추정치국원
1981년 ~ 1983년 1월 6일김일제1부주석
1981년 3월 ~ 1982년 4월최광수산위원회 위원장
1982년 4월 ~김경연재정상
1982년 4월 ~홍성룡
1982년 4월 ~ 1985년 10월 1일김복신경공업위원장
1982년 4월 ~ 1984년 1월 26일최광수산위원회 위원장
1982년 4월 ~ 1984년 1월강성산
1983년 12월 ~ 1984년 2월최영림제1부총리로 승진
1983년 ~ 1985년 10월 1일연형묵제1부총리로 승진
1984년 1월 26일 ~ 1986년 12월 28일최광수산위원회 위원장
1983년 6월 15일 ~ 1986년 12월 28일김환당 중앙위원회 과학,교육담당 비서
1983년 ~ 1986년 12월 28일리근모1986년 12월 29일 총리로 승진
1983년 12월 28일 ~ 1986년 12월 28일김영남외무상
1985년 10월 2일 ~ 1986년 12월 28일안승학당 비서, 경공업위원장
1985년 10월 2일 ~ 1986년 12월 28일김복신무역위원장
1985년 10월 2일 ~ 1986년 12월 28일공진태인민봉사위원장
1986년 2월 ~ 1986년 12월 28일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1984년 1월 26일 ~ 1986년 12월 28일강성산당 서기로 전출
1984년 1월 26일 ~ 1986년 12월 28일리종옥제1부주석
1986년 12월 29일 ~ 1988년 2월 12일최광수산위원회 위원장
1986년 12월 29일 ~김환당 중앙위원회 과학,교육담당 비서
1986년 12월 29일 ~ 1989년 3월김영남외무상
1986년 12월 29일 ~ 1989년 3월안승학당 비서, 경공업위원장
1986년 12월 29일 ~ 1989년 3월김복신무역위원장
1986년 12월 29일 ~ 1989년 3월공진태인민봉사위원장
1986년 12월 29일 ~ 1989년 3월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1989년 3월 ~ 1997년 2월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1989년 3월 ~ 1994년 2월김영남
1989년 4월 ~ 1990년 5월강희원조평통 부위원장
1990년 5월 ~ 1992년 12월김달현
1990년 5월 ~ 1992년 12월강희원
1990년 5월 ~ 1992년 12월최영림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1992년 12월 ~ 1997년김달현국가 계획 위원회 위원장, 조선로동당 정치국 후보위원
1992년 12월 ~ 1994년 7월 28일강희원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
1992년 12월 ~ 1997년최영림금속공업부 부장
1994년 2월 ~ 1997년김영남


2. 3. 내각 시기 (1998년 ~ 현재)

1998년 헌법 개정으로 정무원이 다시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부총리의 역할도 일부 조정되었다. 내각 부총리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성을 강화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국가계획위원장 등 경제 관련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

1998년 ~ 현재 내각 부총리 명단
취임이름겸직
1998년 9월 1일김달현, 최영림, 곽범기, 오수영, 조창덕
2003년 9월최영림, 곽범기, 오수영, 로두철, 태종수, 전승훈
2009년 4월 9일로두철국가계획위원장
2009년 4월 9일태종수, 최영림, 곽범기, 오수용
2009년 9월박수길재정상
2009년 9월 4일박명선
2010년 6월 4일로두철, 강능수, 김락희, 태종수, 리태남, 박수길, 한광복, 전승훈, 조병주, 전하철, 곽범기, 장성택, 김용진, 리철만박수길: 재정상, 한광복: 전자공업상, 전승훈: 금속공업상, 조병주: 기계공업상,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2010년 9월김인식, 강석주, 김덕훈, 임철웅김덕훈: 자강도 인민위원장, 임철웅: 철도성 참모장
2011년 5월리무영화학공업상
2012년 4월리철만
2013년 4월리철만농업상
2014년 6월 19일최영건



2021년 이후 내각 부총리 명단(현재)
직책이름비고
부총리박정근, 양승호, 김성룡, 리성학, 박훈, 주철규, 전승국박정근: 2021년 1월 17일 ~, 양승호: 2020년 4월 12일 ~, 김성룡, 리성학, 박훈, 주철규: 2021년 1월 17일 ~, 전승국: 2022년 6월 8일 ~


3. 부총리의 역할과 권한

내각 부총리는 내각 총리를 보좌하고 내각의 업무를 분담하는 고위 행정 보좌관 역할을 한다.[2]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특정 분야를 책임지고 총리의 위임을 받아 업무를 수행한다. 국가계획위원회, 외무상 등 주요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경제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내각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대외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를 대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4. 제1부총리

내각 제1부총리는 부총리 중 가장 높은 직위로, 총리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행한다.[1] 1959년 1월 20일 김일이 처음으로 내각 제1부수상에 임명되었으며, 1972년 12월 28일까지 재임했다.[2] 이후 강성산(1982년 4월 6일 ~ 1984년 1월 25일), 연형묵(1985년 10월 1일 ~ 1986년 8월 12일), 김윤혁(1986년 8월 12일 ~ 1986년 12월 29일), 홍성남(1986년 12월 29일 ~ 1987년 10월 14일) 등이 제1부총리를 역임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제1부수상
번호사진이름재임 기간소속 정당내각총리최고인민회의
취임퇴임
1
김일
(1910–1984)
1959년 1월 20일1972년 12월 28일조선로동당김일성제2기
제3기
제4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 제1부총리
번호사진이름재임 기간소속 정당내각총리최고인민회의
취임퇴임
2
강성산
(1931–2007)
1982년 4월 6일1984년 1월 25일조선로동당리종옥제7기
3--연형묵
(1931–2005)
1985년 10월 1일1986년 8월 12일조선로동당강성산
4--김윤혁
(1926–2006)
1986년 8월 12일1986년 12월 29일조선로동당
5--홍성남
(1929–2009)
1986년 12월 29일1987년 10월 14일조선로동당리건모제8기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 The Cabinet http://www.naenara.c[...] Naenara 2017-05-20
[2]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Korea, North - ND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8-06-21
[3] 웹사이트 Election for state leadership organs https://kcnawatch.or[...] 1998-09-05
[4] 웹사이트 Members of DPRK Cabinet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03-09-04
[5] 웹사이트 First Session of 12th SPA of DPRK Held https://kcnawatch.or[...] 2009-04-09
[6] 웹사이트 Vice-premier and chairman of capital construction of cabinet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02-04-30
[7] 웹사이트 Members of DPRK Cabinet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4-04-09
[8] 웹사이트 First Session of 14th SPA Held https://kcnawatch.or[...] 2019-04-12
[9] 웹사이트 Thae Jong Su Appointed as Vice-Premier of DPRK Cabinet https://kcnawatch.or[...] 2007-10-17
[10] 웹사이트 Pak Myong Son Appointed Vice Premier of DPRK Cabinet https://kcnawatch.or[...] 2009-09-04
[11] 웹사이트 New DPRK Minister of Finance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09-09-18
[12] 웹사이트 Kang Nung Su Appointed as Vice-PM https://kcnawatch.or[...] 2010-06-07
[13] 웹사이트 Jo Pyong Ju Appointed as Vice-PM and MMBI https://kcnawatch.or[...] 2010-06-07
[14] 웹사이트 Han Kwang Bok Appointed as Vice-PM and MEI https://kcnawatch.or[...] 2010-06-07
[15] 웹사이트 Ri Thae Nam Appointed as Vice-PM https://kcnawatch.or[...] 2010-06-07
[16] 웹사이트 Kim Rak Hui Appointed as Vice-PM https://kcnawatch.or[...] 2010-06-07
[17] 웹사이트 Jon Ha Chol Appointed as Vice-PM https://kcnawatch.or[...] 2010-06-07
[18] 웹사이트 Kang Sok Ju Appointed as Vice PM https://kcnawatch.or[...] 2010-09-23
[19] 웹사이트 New Vice-Premier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1-05-31
[20] 웹사이트 Fifth Session of 12th SPA Held https://kcnawatch.or[...] 2012-04-13
[21] 웹사이트 Jon Sung Hun Newly Appointed as Vice-Premier of DPRK https://kcnawatch.or[...] 2012-08-18
[22] 웹사이트 Kim Tok Hun Appointed as Vice-Premier of DPRK https://kcnawatch.or[...] 2014-04-30
[23] 웹사이트 New Vice-Premier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4-05-29
[24] 웹사이트 Vice-Premier of DPRK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4-06-19
[25] 웹사이트 Fourth Session of 13th SPA Held in DPRK in Presence of Kim Jong Un https://kcnawatch.or[...] 2016-06-29
[26] 웹사이트 DPRK Vice-Premier Newly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7-01-17
[27] 웹사이트 New Vice-Premier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14-05-14
[28] 웹사이트 Report on 5th Plenary Meeting of 7th C.C., WPK https://kcnawatch.or[...] 2020-01-01
[29] 웹사이트 Third Session of 14th SPA of DPRK Held https://kcnawatch.or[...] 2020-04-13
[30] 웹사이트 Members of the DPRK Cabinet Appointed https://kcnawatch.or[...] 2021-01-18
[31] 웹사이트 Press Release of 5th Plenum of 8th C.C., WPK Issued https://kcnawatch.or[...] 2022-06-11
[32] 웹사이트 Report on 9th Enlarged Plenum of 8th WPK Central Committee https://kcnawatch.or[...] 2023-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